배너

KPCT Tour

경기방식

객관적 조리기술대회

OST (Objective Skill Test Competition) Rule

한국프로쉐프대회 개요

한국프로쉐프대회는 기존의 평가 방식이 아닌 "객관적 조리기술 평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선수들은 대회 기준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충분한 연습을 할 수 있으며, 경기를 관람하는 관객들도 대회 진행을 명확하게 파악 할 수 있어 흥미와 집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경기규모와 성격에 따라 각 개념 내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Round 1
정육면체 썰기
Round 2
직육면체 썰기
Round 3
7면체 갂기
Round 4
돌려 깎기
Round 5
가금류 작업
Round 6
둥근생선 작업
Round 7
납작한생선 작업
Round 8
향신료 감별
Round 9
육류 작업
Round 10
실전 조리
3분
3분
6분
3분
10분
10분
10분
30초
10분
3코스 기준
(4시간)
3개 생산 4개 생산 3개 생산 1개 생산 1마리 작업 1마리 작업 1마리 작업 1개 1 1메뉴/11인분
기준 +-오차 기준 +-오차 기준 +-오차 기준 +-오차 수율 +- 오차 수율 +- 오차 수율 +- 오차 수율 +- 오차 수율 +- 오차 배점(10,9,8)
1차 대회 100순위 개인전
2차 본선 10순위전 토너먼트
최종

※ 주최자와 협의에 따라 일부 단계 제외 또는 추가 가능

Knife Skill Challenge

정육면체 썰기

  • 주어진 재료를 한면이 3cm가 되는 정육면체 3개를 써시오.
  • 칼 사용횟수는 주심의 요구에 따른다.
  • 주어진 시간 내에 완성해야 한다.
  • 점수는 전체 면의 +- 오차로 계산하여 0점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를 얻게 된다. (오차가 없을 때 완전(perfect) 점수로 -1점을 부여 한다.)
  • 대회 중 부주의로 인해 손을 베거나 다치는 경우 경기에서 탈락된다.

직육면체 썰기

  • 주어진 재료를 한면이 6cm x 2cm가 되는 직육면체 4개를 써시오.
  • 칼 사용횟수는 주심의 요구에 따른다.
  • 주어진 시간 내에 완성해야 한다.
  • 점수는 전체 면의 +- 오차로 계산하여 0점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를 얻게 된다. (오차가 없을 때 완전(perfect) 점수로 -1점을 부여 한다.)
  • 대회 중 부주의로 인해 손을 베거나 다치는 경우 경기에서 탈락된다.

7면체 깎기

  • 주어진 재료를 한면이 길이 5cm 한면 1cm인 7개면 모양을 3개 만드시오.
  • 칼 사용횟수 제한없음.
  • 주어진 시간 내에 완성해야 한다.
  • 점수는 전체 면의 +- 오차로 계산하여 0점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를 얻게 된다. (오차가 없을 때 완전(perfect) 점수로 -1점을 부여 한다.)
  • 대회 중 부주의로 인해 손을 베거나 다치는 경우 경기에서 탈락된다.

돌려깎기

  • 주어진 재료를 돌려깎기 기술로 껍질을 제거하시오.
  • 칼 사용횟수 제한없음.
  • 주어진 시간 내에 완성해야 한다.
  • 완성품은 측정기를 통해 측정한다.
  • 점수는 수율계산에 따르며 낮은 점수를 획득하면 승자가 된다.
  • 대회 중 부주의로 인해 손을 베거나 다치는 경우 경기에서 탈락된다.

Flavor Sense challenge

향신료 감별

  • 주어진 재료를 향기로 명칭을 맞추시오.
  • 주어진 시간 안에 정답을 맞춰야 한다.
  • 점수는 OX로 정확한 명칭을 맞출 경우 -1점, 못 맞출 경우 0점
  • 대회 중 봉인을 떼거나 용기를 훼손할 경우 경기에서 탈락된다.
  • 대회 성격이나 규모에 따라 1~5개까지 하며 점수는 -1점을 넘지 못한다. (수량에 따라 -1점수를 분산)

Fabrication challenge

가금류 원형 발골

  • 양날개 두번째 관절을 제거한 원형 가금류(닭을 원칙으로 함)에서 뼈를 제거하여 1쪽을 생산한다.
  • 같은 크기와 같은 중량의 가금류를 선수들에게 지급한다. (같은 크기의 범위는 중량과 사이즈 5% 내외의 오차로서 5%를 넘어가서는 안된다.)
  • 선수는 심사위원의 지식에 따라 제한된 시간(10분) 안에 작업하여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는다.
    (가금류는 원형 그대로의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아낸 결과물은 총중량과 뼈, 뼈를 제거한 가금류 순으로 측정하여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뼈가 제거된 가금류 중량 비율을 점수로 기입한다.
  • 완성품에 잔여뼈가 붙어 있으면 감점 +1을 한다.
  • 중량은 0.1g 이하 단위 측정 전자저울을 사용한다.

둥근 생선 필렛

  • 둥근 모양의 생선을 2쪽의 필렛과 머리가 붙은 뼈, 총 3쪽을 생산한다.
  • 같은 크기와 같은 중량의 생선을 선수들에게 지급한다. (같은 크기의 범위는 중량과 사이즈 5% 내외의 오차로서 5%를 넘어가서는 안된다.)
  • 선수는 심사위원의 지식에 따라 제한된 시간(10분) 안에 작업하여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는다.
    (생선은 원형 그대로의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아낸 결과물은 총중량과 뼈 중량, 필렛 중량 순으로 측정하여 필렛 중량의 비율을 점수로 기입한다.
  • 생산된 필렛에 잔여뼈가 붙어 있으면 감점 +1을 한다.
  • 중량은 0.1g 이하 단위 측정 전자저울을 사용한다.

납작한 생선 필렛

  • 납작한 모양의 생선을 4쪽의 필렛과 머리가 붙은 뼈, 총 5쪽을 생산한다.
  • 같은 크기와 같은 중량의 생선을 선수들에게 지급한다. (같은 크기의 범위는 중량과 사이즈 5% 내외의 오차로서 5%를 넘어가서는 안된다.)
  • 선수는 심사위원의 지식에 따라 제한된 시간(10분) 안에 작업하여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는다.
    (생선은 원형 그대로의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아낸 결과물은 총중량과 뼈 중량, 필렛 중량 순으로 측정하여 필렛 중량의 비율을 점수로 기입한다.
  • 생산된 필렛에 잔여뼈가 붙어 있으면 감점 +1을 한다.
  • 중량은 0.1g 이하 단위 측정 전자저울을 사용한다.

안심 다듬기

  • 주어진 안심 부위를 Cut Out Weight 15%를 기준으로 생산한다. (국제 부처링 수율 15% 적용)
  • 같은 크기와 같은 중량의 안심을 선수들에게 지급한다. (같은 크기의 범위는 중량과 사이즈 5% 내외의 오차로서 5%를 넘어가서는 안된다.)
  • 선수는 심사위원의 지식에 따라 제한된 시간(10분)안에 작업하여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는다.
    (안심은 원형 그대로의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위원회에서 제공한 용기에 담아낸 결과물은 15% Cut Out Weight 비율 0점으로 하여 점수를 +-오차를 기입한다.
  • 중량은 0.1g 이하 단위 측정 전자저울을 사용한다.
  • 대회중 부주의로 손을 베거나 다치는 경우 경기에서 탈락한다.

Cooking & Plating Challenge

코스 요리

  • 최종단계 경기 후 상위 10위까지 코스요리 대회에 진출할 수 있다.
  • 요리는 대회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1~5코스 내에서 정한다.
  • 사용될 주 재료는 사전 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대회 성격에 따라 "블랙박스" 형태로 당일 공개할 수도 있다.
  • 선수들은 공개된 주 재료를 이용하여 메뉴 레시피를 만들어 대회에서 요구하는 분량의 메뉴를 생산하여야 한다.
  • 요구한 메뉴 중 1인분은 전시하고, 나머지는 Gala Dinner 형식으로 준비한다.
  • 요리에 대한 채점은 디너에 참여하는 고객 평가 형식 채점한다. (단, 고객들은 협회에서 제공하는 배점표를 사용한다.)
  • 메뉴의 구성은 자유이며 보조요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다.
    (단 보조원은 재료를 다듬고, 청소, 기물관리 등을 도와주며 조리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는다.)
  • 개발된 메뉴의 저작권 및 상품권에 대해서는 본회의 규정에 따른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